알림
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.
r5 vs r6
... ...
19 19
>{{{#!wiki style="margin:1em"
20 20
'''태그 뒤에 Raw가 붙인 경우, ADOFAI의 언어가 어떻든 고정적인 반환값을 가집니다.'''
21 21
예를 들어, ADOFAI의 언어가 한국어라도 SHitRaw 태그는 SHit 태그와 달리 '''정확!''' 대신 '''Perfect!'''를 표시합니다.}}}
22
* LHit
23
* NHit
24
* SHit
25
* CHit
26
* LHitRaw
27
* NHitRaw
28
* SHitRaw
29
* CHitRaw
22
* LHit
23
* NHit
24
* SHit
25
* CHit
26
* LHitRaw
27
* NHitRaw
28
* SHitRaw
29
* CHitRaw
30 30
=== 판정 범위 ===
31
* MarginScale : 레벨의 판정 범위를 알려줍니다.
31
* MarginScale : 레벨의 판정 범위를 알려줍니다.
32 32
* 범위가 0~1이므로 Expression 태그로 {Expression:(MarginScale() * 100).toFixed(2)}을 작성해야 TimingScale모드처럼 표시 가능합니다. 단, Overlayer의 Scripting 모드를 같이 사용해야 작동합니다.
33 33
=== 판정 모음 ===
34 34
|| 빠름 || LFast || NFast || SFast || CFast ||
35 35
|| 느림 || LSlow || NSlow || SSlow || CSlow ||
36 36
== 플레이 관련 태그 ==
37 37
=== 정확도 ===
38
* Accuracy : 정확도 (정확일 때 100 + 0.01)
39
* XAccuracy : 절대정확도 (완벽한 플레이일 때 100)
38
* Accuracy : 정확도 (정확일 때 100 + 0.01)
39
* XAccuracy : 절대정확도 (완벽한 플레이일 때 100)
40 40
=== 콤보 ===
41 41
>{{{#!wiki style="margin:1em"
42 42
'''HitMargin'''는 얼불춤 판정을 나타내는 내부 코드의 일부이며, 정확은 '''Perfect''', 빠름은 '''EarlyPerfect''', 느림은 '''LatePerfect''', 빠름!은 '''VeryEarly''', 느림!은 '''VeryLate''', 너무 빠름은 '''TooEarly''', 너무 느림은 '''TooLate''' 입니다.}}}
43
* Combo : 콤보 수(연속으로 정확을 띄운 횟수)
44
* MaxCombo : 최대 콤보
45
* MarginCombo : 판정 1개의 콤보를 볼 수 있습니다.
43
* Combo : 콤보 수(연속으로 정확을 띄운 횟수)
44
* MaxCombo : 최대 콤보
45
* MarginCombo : 판정 1개의 콤보를 볼 수 있습니다.
46 46
* 예를 들어 `MarginCombo(VeryLate)`를 입력할 경우 "느림!"판정의 콤보를 볼 수 있습니다.
47
* MarginMaxCombo : 판정 1개의 최대 콤보를 볼 수 있습니다.
47
* MarginMaxCombo : 판정 1개의 최대 콤보를 볼 수 있습니다.
48 48
* 예를 들어 `MarginCombo(VeryEarly)`를 입력할 경우 "빠름!"판정의 최대 콤보를 볼 수 있습니다.
49
* MarginCombos : 옵션으로 콤보의 집계를 원하는 판정들을 넣어 해당 판정들의 콤보를 볼 수 있습니다.
49
* MarginCombos : 옵션으로 콤보의 집계를 원하는 판정들을 넣어 해당 판정들의 콤보를 볼 수 있습니다.
50 50
* 예를 들어 `MarginMaxCombos(Perfect|EarlyPerfect|LatePerfect|VeryEarly|VeryLate)`를 입력할 경우 너무 빠름, 너무 느림, 놓침, 과부하, 다중 입력을 제외한 모든 판정의 콤보를 볼 수 있습니다.
51
* MarginMaxCombos : 옵션으로 콤보의 집계를 원하는 판정들을 넣어 해당 판정들의 최대 콤보를 볼 수 있습니다.
51
* MarginMaxCombos : 옵션으로 콤보의 집계를 원하는 판정들을 넣어 해당 판정들의 최대 콤보를 볼 수 있습니다.
52 52
* 예를 들어 `MarginMaxCombos(Perfect|EarlyPerfect|LatePerfect|VeryEarly|VeryLate)`를 입력할 경우 너무 빠름, 너무 느림, 놓침, 과부하, 다중 입력을 제외한 모든 판정의 최대 콤보를 볼 수 있습니다.
53 53
=== 진행도 ===
54
* Progress : 현재 진행도
55
* StartProgress : 시작한 지점의 진행도
56
* BestProgress : 최대 진행도
57
* ActualProgress : 시간에 기반한 현재 (실제) 진행도
54
* Progress : 현재 진행도
55
* StartProgress : 시작한 지점의 진행도
56
* BestProgress : 최대 진행도
57
* ActualProgress : 시간에 기반한 현재 (실제) 진행도
58 58
=== 점수 ===
59
* LScore : 느슨 난이도의 점수
60
* NScore : 보통 난이도의 점수
61
* SScore : 엄격 난이도의 점수
62
* Score : 현재 난이도의 점수
59
* LScore : 느슨 난이도의 점수
60
* NScore : 보통 난이도의 점수
61
* SScore : 엄격 난이도의 점수
62
* Score : 현재 난이도의 점수
63 63
=== 체크포인트 ===
64
* CheckPointUsed : 체크포인트 사용 횟수
65
* CurCheckPoint : 현재 체크포인트 번호
66
* TotalCheckPoints : 전체 체크포인트 개수
64
* CheckPointUsed : 체크포인트 사용 횟수
65
* CurCheckPoint : 현재 체크포인트 번호
66
* TotalCheckPoints : 전체 체크포인트 개수
67 67
=== 타일 ===
68 68
>{{{#!wiki style="margin:1em"
69 69
얼불춤의 시작 타일은 0번부터 시작하지만 오버레이어는 1부터 시작합니다. 이 부분을 주의해주세요.}}}
70
* StartTile : 시작 타일 번호
71
* CurTile : 현재 타일 번호
72
* LeftTile : 남은 타일 개수
73
* TotalTile : 전체 타일 개수
70
* StartTile : 시작 타일 번호
71
* CurTile : 현재 타일 번호
72
* LeftTile : 남은 타일 개수
73
* TotalTile : 전체 타일 개수
74 74
=== 배속 ===
75
* Pitch : 창작마당에서 설정한 배속 (1배속일 때 1로 표시됨)
76
* EditorPitch : 에디터에서 설정한 피치 (100%일 때 1로 표시됨)
75
* Pitch : 창작마당에서 설정한 배속 (1배속일 때 1로 표시됨)
76
* EditorPitch : 에디터에서 설정한 피치 (100%일 때 1로 표시됨)
77 77
=== 난이도 ===
78 78
>{{{#!wiki style="margin:1em"
79 79
난이도란? 보통, 엄격등의 판정을 의미합니다.}}}
80
* Difficulty : 현재 난이도
81
* DifficultyRaw : 얼불춤의 언어가 어떻든, 고정적인 반환값을 가집니다.
80
* Difficulty : 현재 난이도
81
* DifficultyRaw : 얼불춤의 언어가 어떻든, 고정적인 반환값을 가집니다.
82 82
* 예를 들어, 엄격일 경우 '''Strict'''로 표시됩니다.
83 83
=== 플레이 정보 ===
84
* IsStarted : 레벨를 시작하지 않았다면 false를, 아무 키를 눌러 시작하면 true를 표시합니다.
85
* IsAutoEnabled : 오토를 활성화를 했다면 true를, 비활성화 하면 false를 표시합니다.
86
* IsPracticeModeEnabled : 연습 모드에 진입했다면 true를, 아니라면 false를 표시합니다.
87
* IsOldAutoEnabled : 약화된 오토를 활성화 했다면 true를, 비활성화 하면 false를 표시합니다.
88
* IsNoFailEnabled : 무적 모드를 활성화 하면 true를, 비활성화 하면 false를 표시합니다.
84
* IsStarted : 레벨를 시작하지 않았다면 false를, 아무 키를 눌러 시작하면 true를 표시합니다.
85
* IsAutoEnabled : 오토를 활성화를 했다면 true를, 비활성화 하면 false를 표시합니다.
86
* IsPracticeModeEnabled : 연습 모드에 진입했다면 true를, 아니라면 false를 표시합니다.
87
* IsOldAutoEnabled : 약화된 오토를 활성화 했다면 true를, 비활성화 하면 false를 표시합니다.
88
* IsNoFailEnabled : 무적 모드를 활성화 하면 true를, 비활성화 하면 false를 표시합니다.
89 89
=== 기타 ===
90
* Timing : 타일의 중심으로부터 키보드를 친 타이밍을 ms로 보여주는 오차
91
* TimingAvg : Timing값의 평균
90
* Timing : 타일의 중심으로부터 키보드를 친 타이밍을 ms로 보여주는 오차
91
* TimingAvg : Timing값의 평균
92 92
== 레벨 관련 태그 ==
93 93
=== 곡의 시간 ===
94 94
|| || 재생 부분 || 전체 ||
... ...
98 98
=== 레벨 정보 ===
99 99
>{{{#!wiki style="margin:1em"
100 100
태그 뒤에 Raw가 붙인 경우, 얼불춤의 언어가 어떻든 고정적인 반환값을 가집니다. 예를 들어, {TitleRaw}를 입력 후 플레이를 하면 리치태그(<size>, <color> 등..>)가 제거되지 않은 곡의 제목을 볼 수 있습니다.}}}
101
*Title : 곡의 제목
102
* Artist : 곡의 작곡가
103
* Author : 레벨 제작자
104
* TitleRaw : '''리치태그가 포함된''' 곡의 제목
105
* ArtistRaw : '''리치태그가 포함된''' 곡의 작곡가
106
* AuthorRaw : '''리치태그가 포함된''' 레벨 제작자
101
*Title : 곡의 제목
102
* Artist : 곡의 작곡가
103
* Author : 레벨 제작자
104
* TitleRaw : '''리치태그가 포함된''' 곡의 제목
105
* ArtistRaw : '''리치태그가 포함된''' 곡의 작곡가
106
* AuthorRaw : '''리치태그가 포함된''' 레벨 제작자
107 107
=== BPM/KPS ===
108
* CurBpm : 체감 BPM
109
* TileBpm : 현재 BPM
110
* RecKPS : 체감 KPS
111
* CurBpmWithoutPitch : '''피치를 제거한''' 체감 BPM
112
* TileBpmWithoutPitch : '''피치를 제거한''' 현재 BPM
113
* RecKPSWithoutPitch : '''피치를 제거한''' 체감 KPS
108
* CurBpm : 체감 BPM
109
* TileBpm : 현재 BPM
110
* RecKPS : 체감 KPS
111
* CurBpmWithoutPitch : '''피치를 제거한''' 체감 BPM
112
* TileBpmWithoutPitch : '''피치를 제거한''' 현재 BPM
113
* RecKPSWithoutPitch : '''피치를 제거한''' 체감 KPS
114 114
== 성능 관련 태그 ==
115 115
=== 프레임 ===
116
* FrameTime :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 사이의 시간차이를 ms단위로 표시합니다.
117
* Fps : 현재 얼불춤의 FPS를 표시합니다.
116
* FrameTime :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 사이의 시간차이를 ms단위로 표시합니다.
117
* Fps : 현재 얼불춤의 FPS를 표시합니다.
118 118
=== 퍼포먼스 ===
119 119
>{{{#!wiki style="margin:1em"
120 120
이 부분에 포함된 태그는 '''Overlayer의 Scripting모듈을 필수로 설치'''를 해야 태그를 사용할 수 있으며, 이 태그들은 '''MacOS 또는 Linux에서는 지원하지 않습니다.'''}}}
121
* ProcessorCount : 현재 사용하는 CPU의 프로세서 수를 표시합니다.
122
* CpuUsage : 얼불춤의 CPU 사용률을 백분율 단위로 표시합니다.
123
* TotalCpuUsage : PC 전체 CPU 사용률을 백분율 단위로 표시합니다.
124
* MemoryUsageGBytes : 얼불춤의 메모리 사용률을 GB단위로 표시합니다.
125
* TotalMemoryUsageGBytes : PC 전체 메모리 사용률을 GB단위로 표시합니다.
126
* MemoryUsage : 얼불춤의 메모리 사용률을 백분율 단위로 표시합니다.
127
* TotalMemoryUsage : PC 전체 메모리 사용률을 백분율 단위로 표시합니다.
128
* MemoryGBytes : PC의 메모리 용량을 GB단위로 표시합니다.
121
* ProcessorCount : 현재 사용하는 CPU의 프로세서 수를 표시합니다.
122
* CpuUsage : 얼불춤의 CPU 사용률을 백분율 단위로 표시합니다.
123
* TotalCpuUsage : PC 전체 CPU 사용률을 백분율 단위로 표시합니다.
124
* MemoryUsageGBytes : 얼불춤의 메모리 사용률을 GB단위로 표시합니다.
125
* TotalMemoryUsageGBytes : PC 전체 메모리 사용률을 GB단위로 표시합니다.
126
* MemoryUsage : 얼불춤의 메모리 사용률을 백분율 단위로 표시합니다.
127
* TotalMemoryUsage : PC 전체 메모리 사용률을 백분율 단위로 표시합니다.
128
* MemoryGBytes : PC의 메모리 용량을 GB단위로 표시합니다.
129 129
== 기타 태그 ==
130 130
=== 시간 ===
131
* Year : 현재 컴퓨터에서의 연도
132
* Month : 현재 컴퓨터에서의 달
133
* Day : 현재 컴퓨터에서의 연도
134
* Hour : 현재 컴퓨터에서의 시간
135
* Minute : 현재 컴퓨터에서의 분
136
* Second : 현재 컴퓨터에서의 초
137
* MilliSecond : 현재 컴퓨터에서의 밀리초
138
* Days : 지금까지 전체 일
139
* Hours : 지금까지 전체 시간
140
* Minutes : 지금까지 전체 분
141
* Seconds : 지금까지 전체 초
142
* MilliSecond : 지금까지 전체 밀리초
131
* Year : 현재 컴퓨터에서의 연도
132
* Month : 현재 컴퓨터에서의 달
133
* Day : 현재 컴퓨터에서의 연도
134
* Hour : 현재 컴퓨터에서의 시간
135
* Minute : 현재 컴퓨터에서의 분
136
* Second : 현재 컴퓨터에서의 초
137
* MilliSecond : 현재 컴퓨터에서의 밀리초
138
* Days : 지금까지 전체 일
139
* Hours : 지금까지 전체 시간
140
* Minutes : 지금까지 전체 분
141
* Seconds : 지금까지 전체 초
142
* MilliSecond : 지금까지 전체 밀리초
143 143
=== Expression ===
144 144
>{{{#!wiki style="margin:1em"
145 145
이 부분에 포함된 태그는 '''Overlayer의 Scripting모듈을 필수로 설치'''를 해야 태그를 사용할 수 있으며, 이 태그들은 '''MacOS 또는 Linux에서는 지원하지 않습니다.'''}}}
146
* Expression : [[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ko/docs/Web/JavaScript/Reference/Operators/Conditional_operator|삼항 연산자]]로 간단한 커스텀 태그를 태그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146
* Expression : [[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ko/docs/Web/JavaScript/Reference/Operators/Conditional_operator|삼항 연산자]]로 간단한 커스텀 태그를 태그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147 147
* 예를 들어, '''{Expression:CEP() + CLP()}'''를 작성 할 경우, 현재 판정의 '''빠름'''과 '''느림'''의 횟수의 합을 보여줍니다.
148 148
=== 특수 태그 ===
149
*EasedValue: 태그 변화 시 태그 값을 속도에 맞게 변화합니다. 태그 옵션으로는 태그이름, 소수점, 속도, Ease함수가 존재합니다.
149
*EasedValue: 태그 변화 시 태그 값을 속도에 맞게 변화합니다. 태그 옵션으로는 태그이름, 소수점, 속도, Ease함수가 존재합니다.
150 150
*예시: {EasedValue(XAccuracy,2,250,OutExpo)} <= 절대정확도의 값이 변화하면 속도 250ms의 OutExpo의 가감속을 가지며 절대정확도의 값이 변화합니다.
151 151
||<tablewidth=700><tablealign=center><tablebordercolor=#333,#ddd><bgcolor=#fff><nopad> {{{#!wiki style="margin: 0em 0;"
152 152
[[파일:ColorRange MovingMan Editor.png|width=100%]]}}} ||
... ...
162 162
* Value: 값이 변할 때 텍스트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아래 미리보기를 통해 볼 수 있습니다.
163 163
* 예시: <color=#{ColorRange(XAccuracy,90,100,000000,FFFFFF)}>{XAccuracy:2}</color> <= 절대정확도의 90 ~ 100범위 내에서 000000 ~ FFFFFF 로 반환합니다.
164 164
165
* MovingMan: 특정 태그를 기준으로 텍스트에 애니메이션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. 보통 <size>와 함께 사용합니다.
165
* MovingMan: 특정 태그를 기준으로 텍스트에 애니메이션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. 보통 <size>와 함께 사용합니다.
166 166
* 대상 태그: 어떤 태그를 기준으로 변화를 줄 지를 결정합니다.
167 167
* 시작 크기: 이벤트 발생시 변화하기 전 최소 크기입니다.
168 168
* 끝 크기: 이벤트 발생시 변화할 최대 크기입니다.
... ...
174 174
175 175
176 176
=== Developer ===
177
* Developer : 개발자의 이름을 표시합니다. --초 카와이 석큐버스 짱~♥︎--
178
* MipaNyang: “MipaNyang is God”을 표시합니다.
177
* Developer : 개발자의 이름을 표시합니다. --초 카와이 석큐버스 짱~♥︎--
178
* MipaNyang: “MipaNyang is God”을 표시합니다.
179 179
* Overlayer 가이드 제작자의 이름[* Overlayer의 매인 개발자가 아니긴 하지만, 소스 코드의 접근 권한을 가지고 있다. ]. 별다른 의도는 없고 태그 추가 테스트해보라고 해서 했는데 개발자분들이 확인만 하고 안지웠다고--(..)--.